Page 53 - 듀얼공동사례집
P. 53
그러나 현재의 HRD-Net만으로는 개별기업에 대한 관리가 쉽지 않았다. 센터 설립
기존 수기 방식에서
초창기에는 기업별·일자별로 몇 월에 어떤 능력단위를 평가해야 하는지 등을 일
엑셀과 VBA를 이용한
일이 수기로 작성하며 평가를 관리했지만, 종이로 작성된 내용은 일목요연하게 한
평가관리시스템 개발
눈에 들어오지 않았을 뿐더러 통합적인 관리에도 한계를 드러냈다. 업무의 중복을
방지하면서 보다 효율적으로 평가를 관리할 방법을 고민하던 조준환 센터장은 올
초, 수기로 작성해오던 평가관리 데이터를 전면 전산화하기로 결심했다. 퇴직을 앞
둔 나이였지만, 엑셀 실력만큼은 어느 정도 자신이 있었다. 그러나 시스템 개발을
위해 타 기관의 사례를 참고해 보니, 대개 기초데이터를 입력하는데 많은 시간을
소비하게 되거나, 툴 자체가 어려워 전문가가 아니면 접근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보
였다. 조준환 센터장은 데이터의 입력을 최소화 하면서도 클릭 몇 번만으로 누구나
쉽게 접근하여 원하는 데이터 값을 도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상했다.
좋은 프로그램이라는 것이 사실 별개 아닙니다. 얼마나 쉽게 접근해서 빠르게 원
하는 결과를 도출해 내느냐가 관건이죠. 빈대 잡으려고 초가삼간을 다 태울 수는
없듯이 새 프로그램을 만들었는데 해당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더 많은 데이터를
입력하는 수고로움을 감내해야 한다면, 전담자들은 오히려 업무에 과부하가 걸릴
것입니다.
그가 기초 입력데이터로 설정한 것은 HRD-Net의 ‘훈련실시 신고조회’ 데이터와
훈련실시 신고조회, 첨부자료인 ‘훈련시간표’, 단 두 가지였다. 엑셀만으로 구현하기 어려운 성능은 매
훈련시간표를 크로 프로그램인 VBA를 이용해서 보완했다. 이것이 바로 올해 6월 자체적으로 개
기초 입력데이터로 설정 발한 ‘훈련기업 능력단위 내부평가시스템’이다. 종이로 관리하던 것이 전산화되
자, 기대 이상의 효과가 나타났다. 기초 입력데이터를 토대로 기업의 능력단위별
평가시기, 평가실시 여부, 평가 수행일자를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었으며, 훈련시
간표가 변경될 경우 간단한 수정만으로 데이터가 업데이트되어 전담자의 업무 중
복이 크게 해소되었다. 가장 큰 장점은 ‘기간별 내부평가 대상 기업’과 ‘훈련기업
능력단위별 내부평가 리스트’가 바로 산출되어 평가대상 기업을 조기에 확인 및
예측하고, 최소 1~2주 전에 사전 통보 및 지원이 가능해졌다는 것이다.
기초데이터 데이터입력 수정 검색
·HRD-Net ·훈련실시 기업현황 ·훈련시간표 변경 ·기간별 내부평가
훈련실시조회데이터 ·훈련시간표 ·평가수행일 대상기업 리스트 출력
·훈련시간표 ·평가수행일 ·훈련기업 능력단위별
리스트
<평가관리프로그램 PROCESS>
코리아텍 듀얼공동훈련센터 허브사업단 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