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50 - 듀얼공동사례집
P. 50

PART. 03        전담자 우수사례 + 우수



                                    학습근로자들에게 크고 작은 놀라움으로 다가온 배려가 작은 불씨였다면, 외부평
          내·외부평가 단계별
                                    가 합격률을 높이기 위한 공동훈련센터의 지원은 이 작은 불씨를 타오르게 하는
          지원 프로세스 구축
                                    기름이 되었다. 먼저 기업 맞춤형 훈련과정 개발을 위한 6단계 프로세스에 의거해
          학습의 질 향상,
                                    기존에 센터에서 개발한 훈련과정을 소분류별·직종별로 재분류하는 시간을 가
          내부평가 합격률 제고
                                    지고, 학습기업의 조직 문화를 고려해 해당 직무를 잘 이끌어나갈 것으로 기대되
                                    는 총괄 PM을 선정한다. 이때 전담자들은 학습 콘텐츠를 선별해 학습기업에게 과
                                    도한 과제가 부여되는 것을 방지하고, 현장 중심의 교육을 유도하는 중재자 역할
                                    을 한다. 현장 중심의 시선으로 교육과 행정 절차를 검토하며 방향성을 제고하는
                                    것이다. 이후 기초전공 자료집에 학습근로자들의 이름을 적어 제공한다. 공동훈련
                                    센터가 제작한 기초전공 자료집은 몇몇 학습기업은 내부 교육 자료로도 널리 활용
                                    중이며, 특히 자신의 담당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타 분야의 지식·기술과 역량을
                                    추가로 습득해야 하는 학습근로자들에게 큰 호평을 받았다.



                                            1단계   기 개발된 훈련과정 자료를 소분류별·직종별 분석


                                            2단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직종별 총괄 PM 선별


                                            3단계   해당 직종의 우수 총괄 PM과 신규업체 매칭

                                            4단계   총괄 PM과 전담자가 함께 기업 방문


                                            5단계   능력단위별 학습도구 제작


                                            6단계   직무 비전공자 대상으로 기초전공 자료집 제공


                                                 <기업 맞춤형 훈련과정 개발 프로세스>

                                     또한 훈련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교육시간 준수를 다짐하는 결의를 하고, 출석부에
                                     학습근로자의 증명사진과 이름·생년월일·핸드폰 번호 등 인적정보를 기입해 부
                                     정 훈련을 방지했다. 대학이 보유한 인프라를 활용해 교육에 필요한 장비를 지원
                                     하고, 보충 교육 시간을 마련해 공동훈련센터가 보유한 약 3,000개의 예상 문제도
                                     공유하고 있다. 이를 기반으로 진행되는 내부평가는 학습근로자에게 좋은 자극제
                                     가 되어 자체적인 스터디 그룹의 결성으로 이어지곤 하는데, 공동훈련센터가 제공
                                     하는 시스템의 활용 여부에 따라 고득점을 얻을 수 있다는 믿음을 가지기 때문이
                                     다. 이정아 매니저는 “다른 공동훈련센터와 비교했을 때 많은 수의 학습기업을 관
                                     리한다고 말할 수는 없지만, 훈련의 질 관리만큼은 자신 있다고 말할 수 있다.”고
                                     했다. 실제로 지난 2년 간 바이오캠퍼스의 외부평가 평균 합격률은 약 75%로, 전
                                     국 평균(약 42%)의 두 배에 가까운 수치를 기록했으며, 이는 한국폴리텍대학 바이
                                     오캠퍼스 듀얼공동훈련센터 전담자들의 자부심이 되고 있다.
           50  2018 재직자단계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전담자 우수사례 경진대회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