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73 - 듀얼공동사례집
P. 73
김선범 팀장은 기업 담당자 및 학습근로자들의 응답 자료를 리커트 척도에 의한
만족도 점수 100점 만점으로 분석하였는데, 훈련 중인 학습기업과 학습근로자의 응답 참여율
80점 미만 항목 도출 은 18년 1차 조사에서 기업관계자 30개사(학습기업 100%참여), 만족도 83.9%, 학
항목별 맞춤형 습근로자 97명(학습근로자 94.1%참여), 만족도 85.5%로 조사되었다. 김선범 팀장
개선활동 실시 은 여기서 기업관계자와 학습근로자들의 만족도 점수가 80점 미만인 항목을 도출
했다. 만족도 조사가 형식에 그치지 않으려면 만족도가 낮은 항목에 대해 추가적
으로 항목별 맞춤형 개선활동을 실시하는 것이 가장 중요했기 때문이다.
2018년 1차 기업관계자 조사결과 80점 미만 항목은 1개였다. 그것은 ‘Off-JT 교육
의 훈련내용 중 불만족한 사항이 있다’는 응답(77.8%)이었는데, 김선범 팀장은 이
를 확인하고 즉각 기업에서 사용하는 품질, 생산 관련 관리 학습도구를 요청하는
조치를 실시했다. 학습근로자의 경우에는 Off-JT 수업과 연계하여 반별 항목을
분석하였는데, 80점 미만의 항목은 총 6개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습근로자들의 응답 80점 미만 항목
① 학습근로자는 훈련과정과 관련하여 기본지식을 인지하고 있었는가?
② 강의를 잘 이해할 수 있었는가?
③ 훈련과정이 나의 특성과 수준에 적정하였는가?
④ 강의내용이 기업 현장에서의 직무를 잘 반영하였는가?
⑤ 교육 중에 시설·장비를 통한 실무교육이 적절히 이루어졌는가?
⑥ Off-JT 훈련과정 중에 제공되는 식사는 만족스러웠는가?
김선범 팀장은 ①번의 경우, 학습근로자들이 훈련과정과 관련하여 기본지식을 미
인지하였 다고 판단되는 바, 이들에게 훈련과정과 관련된 기초자료를 제공했다.
②번의 경우에는 비전공분야 교육과정에 대한 전문용어가 어렵기 때문이라는 점
을 파악하고 관련 용어자료를 제공하여 학습근로자들의 이해도 향상을 도왔다.
교육자료 용어자료
코리아텍 듀얼공동훈련센터 허브사업단 7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