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ge 24 - 듀얼공동사례집
P. 24
PART. 02 전담자 우수사례 + 최우수
현장실사도 그렇고 각 지부지사별로 기업을 매칭하는 업무는 일정이 확 몰리는 경
우가 많아 이를 조율하는 것이 가장 힘들었어요. 많을 때는 20곳씩 겹치는 경우도
있었는데, 야근을 해야 하는 고충보다 더 신경쓰이는 것은 서류에서 기업 선정의
당락이 좌우되기 때문에 바쁘더라도 하나하나 꼼꼼하게 챙겨야 한다는 사실이었
죠. 이제는 어느 정도 요령이 생겨서 정기공모 전에 틈날 때마다 신규 기업들을 방
문해 해당 서류를 미리 챙겨 놓도록 안내하는 등 특정 기간에 업무가 밀리지 않도
록 최대한 부지런하게 다음 공모를 대비하곤 합니다.
이러한 그의 노력은 곧 가시적인 성과로 나타났다. 사전컨설팅 수행 결과, 현장실
사 참여 지원률이 도입 전 98%에서 100%로 상향되었으며, 단독기업을 포함하여
총 3번의 정기공모에서 27개 기업, 수시공모(특구 지원센터)에서 2개 기업이 선정
되는 괄목할만한 성과를 거둔 것이다.
도입 전
도입 후
5.0점 5.0점 100%
4.7점 4.8점 98%
2%
0%
과정 인정 이후
공동훈련센터 만족도 사전컨설팅 만족도 현장실사 참여 지원율
10일 이내 훈련 미실시율
<사전컨설팅 도입 성과>
사전컨설팅 도입의 효과는 단순히 통계적 수치에만 국한되지 않았다. 공동훈련센
상당량의 기업 기초자료 수집
터 입장에서 1년 이상의 훈련과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기업들의 기초정보와 교
양질의 맞춤형 훈련과정
육과정에 대한 니즈 등 훈련 운영의 시나리오를 예측하고 리스크를 관리할 수 있
개발에 기여
는 세부적인 데이터가 필요했는데, 그간에는 보안상의 이유로 기업들이 공동훈련
센터에 기업내부의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다소 꺼리는 경향이 있었다고 한다. 그
러나 박미정 팀장은 참여 신청 단계가 기업의 협조도가 가장 높은 시기임을 파악
하고 사전컨설팅을 적극 활용하여 상당량의 기업 기초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특히, 사전컨설팅 과정에서 한양여자대학교 듀얼공동훈련센터의 주요 훈련과정을
안내하고 수요를 조사했는데, 센터 입장에서는 금번에 어떤 과정을 개설해야 하는
지, 혹은 인원이 많을 것으로 예상되는 훈련과정에 미리 서브 강사를 섭외해야 할
지 등을 사전에 판단하고 대응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센터의 훈련과정이 자
사의 직무와 잘 매치되는지를 기업과 한국산업인력공단이 동시에 파악할 수 있고,
기업 역시도 보다 명확하고 구체적으로 훈련과정을 기획할 수 있게 되었다. 나아
가 이러한 사전정보를 통해 전담자는 관련 전문가 섭외 및 최적의 컨설팅 담당자
매칭을 한결 수월하게 진행했을 뿐만 아니라, 학습기업이 많다보니 공통직무를 선
별하는데 어려움을 겪었던 이전보다 양질의 맞춤형 훈련과정을 개발하는 데에도
큰 도움이 되었다.
24 2018 재직자단계 일학습병행 공동훈련센터 전담자 우수사례 경진대회